한때 사그라든 듯했던 퀵커머스가 다시 요동치기 시작했습니다. 이번엔 '마트'가 아니라 '쇼핑'입니다. 쿠팡이츠가 지난 5월 강남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한 ‘쿠팡이츠 쇼핑’이 불과 6개월 만에 서울 전역으로 확장되며, 배민 B마트의 독주 체제에 도전장을 던졌습니다. 그 대상은 편의점이나 마트뿐 아니라 철물점까지—동네 상권 전체입니다.
하지만 이 급격한 확장의 뒷면에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질문도 많습니다. 쿠팡이 쇼핑으로 진짜 승부를 시작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이 실험은 성공할 수 있을까요?
물류·공급망 전략 백브리핑
STREAMLINE: 쿠팡이츠 쇼핑 – 퀵커머스 리부트의 조건
(2025.07.16)
❶ Point of View | ‘마트’에서 ‘쇼핑’으로, 전환의 의미
‘쿠팡이츠 마트’는 2021년 시작해 도심 내 MFC(마이크로풀필먼트센터)를 통해 직접 재고를 보유하며 운영됐습니다. 그러나 높은 운영비용과 제한된 커버리지, 수익성 문제로 2023년 대폭 축소됐죠.
2025년 들어 쿠팡은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퀵커머스를 재구성했습니다. ‘쇼핑’은 MFC 대신 동네 상점과의 연결에 집중하는 중개 모델입니다. 매장에 있는 상품을 1시간 내 배송해주되, 쿠팡은 재고도, 창고도 가지지 않습니다. 대신 입점비는 없고, 중개 수수료는 6.8%. 로켓와우 회원이면 배송비도 무료입니다.
이런 구조는 기존 퀵커머스의 비즈니스 모델과 다릅니다. 즉, 속도보다 '확장'과 '저비용'에 초점을 둔 전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