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메프가 만들던 ‘조’ 단위 거래액은 어디로 갔을까

※ 이 콘텐츠는 커넥터스와 ‘트렌드라이트’의 제휴를 바탕으로 제작됐습니다.

1. 지난 7월, 티몬과 위메프(이하 ‘티메프’)에서 대규모 판매자 대금 미정산 문제가 발생하며 촉발된 ‘티메프 사태’가 벌어진 지 어느덧 두 달이 넘었습니다.

물류까지 번지는 티메프 사태, 현장이 말하는 해결책은?
CHAPTER 1 땡볕 거리로 나온 티몬·위메프 셀러들 13일 티몬·위메프(티메프) 사태 피해자들이 거리로 나왔습니다. 환불을 받지 못한 피해 소비자들과 미정산 피해 판매자들이 연대하여 서울시 강남구 티몬 사옥 앞에서 집회를 연 것인데요. 이들은 “서로가 피해자임을 이
티메프 사태와 어둠의 ‘노트북깡’, 왜 용산 전자상가 상인들은 침묵할까
CHAPTER 1 왜 티어1 용산 상인들은 침묵하고 있나 티메프(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가운데, 피해자 그룹으로 용산 전자상가 상인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더불어민주당은 최근 ‘티메프 사태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여 용산 전자상가

2. 당시 연간 거래액이 조 단위를 훌쩍 넘기던 거대 플랫폼들이 갑자기 위기에 봉착하자, 사람들은 그 빈자리를 누가 채울지 궁금해 했습니다. 특히 쿠팡의 독주 체제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커머스 시장의 경쟁 구도가 바뀔지도 모른다는 기대도 있었습니다.

3. 하지만 현시점 여러 데이터를 종합해 보면 생각했던 것만큼 큰 변화는 없어 보입니다. 오히려 티메프의 이탈로 1위 플랫폼 쿠팡의 독주는 더욱 강화된 것처럼 보이기까지 합니다.

4. 우선 모바일인덱스 데이터에 따르면 티메프 사태 이전인 올해 상반기 기준 주요 오픈마켓 및 소셜커머스 5개 기업(쿠팡, 11번가, G마켓/옥션, 티몬, 위메프) 중 유일하게 성장하던 건 ‘쿠팡’뿐이었고요. 나머지 기업들은 전년 대비 역성장하고 있었습니다.

5. 티메프 사태 이후인 8월과 9월에도 이러한 흐름은 그대로 이어졌습니다. 단지 티메프의 부재로 인해 이들 플랫폼들의 전체 거래액의 총합만이 전년 대비 감소세로 돌아섰을 뿐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그 누구도 티메프의 부재로 인한 반사이익을 제대로 누리지 못한 거죠.

사라진 ‘상품권’ 거래액의 향방

6. 물론 모바일인덱스 데이터에는 보이지 않는 ‘네이버쇼핑’이 티메프의 거래액을 일부 흡수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7. 하지만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온라인 쇼핑 동향 데이터를 보면, 이러한 영향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8. 음식 배달을 제외한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8월 기준 전년 대비 거의 제로 성장에 그쳤고요. 특히 티메프가 강세를 보였던 전자제품, 여행, 상품권 카테고리만 떼서 보면 오히려 거래액이 감소했습니다. 이로 미루어 보아, 티메프의 이탈은 시장 전체 거래액의 축소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9. 이번 변화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상품권 거래액입니다. 올해 상반기 월평균 약 9천억원에 달하던 상품권 거래액은 7월과 8월 각각 5천억원, 4천억원으로 반토막 났습니다.

10. 실제로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티메프에서 상반기 판매된 상품권 규모가 무려 1조2000억원에 달했고요. 이는 전체 온라인 상품권 거래의 58.7%, 그리고 티메프 전체 결제 금액의 약 30%를 차지하는 수치입니다.

11. 이를 해석해 보면, 티메프는 정산 대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리하게 상품권 거래를 늘려왔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 결과 전체 거래액 중 상당 부분을 상품권이 차지하게 되었고, 이는 대단히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뜻합니다.

티몬, 위메프의 현금흐름이 터진 이유가 상품권, 항공권 때문이라고?
CHAPTER 1 티몬·위메프의 현금 흐름이 터졌다 큐텐이 인수한 이커머스 플랫폼 티몬과 위메프가 큰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각 플랫폼 입점 셀러 대상 정산지연 문제가 커지고, 일부 셀러가 상품 발송 및 서비스 제공을 거부하면서 해당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한 소비자들까

12. 결국 티메프가 운영을 중단하면서 이러한 거래들도 자연스럽게 사라졌고, 다른 플랫폼의 추가 성장으로 이어지지 않았던 겁니다.

티메프 '만의' 고객도 없었습니다

13. 물론 장기적으론 티메프의 충성 고객들이 다른 플랫폼으로 이동하여 시장 경쟁 구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한 사람들도 있었을 텐데요. 하지만 실제 데이터를 보면 상황은 달랐습니다.

14. 모바일인덱스 데이터에 따르면 오픈마켓/소셜커머스 카테고리에서 티몬 앱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고객 비율은 사태 직전인 2024년 6월 기준 고작 2.1%였고요. 위메프도 2.6%에 그쳤습니다. 대부분의 티메프 고객들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었던 것이죠.

15. 이처럼 충성 고객층이 부족했던 것이 티메프의 몰락을 초래한 주요 원인 중 하나였으며, 순수 티메프 고객 자체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다른 플랫폼들의 고객 지표도 큰 변화가 없던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습니다.

16. 더욱이 이러한 충성 고객 부족 문제는 티메프만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같은 기간 G마켓(5.6%), 11번가(8.7%)도 마찬가지로 낮은 단독 이용률을 보였거든요. 티메프 사태 이후인 올해 9월 기준으로도 G마켓(5.5%)과 11번가(9.4%)의 지표는 거의 변화가 없었죠.

17. 반면 쿠팡은 6월 기준으로 50.5%라는 압도적인 단독 이용률을 자랑했으며, 9월에는 그 비율이 56.7%까지 상승하면서 티메프의 퇴장으로 그나마 가장 큰 수혜를 본 곳으로 보이기도 했습니다.

18. 결국 티메프의 퇴장은 이커머스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키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쿠팡의 ‘1강’ 구도를 더욱 공고히 만드는 결과로 이어졌죠. 고객 규모뿐만 아니라 충성도 측면에서도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는 쿠팡은 앞으로 꽤 오래도록 그 자리를 쉽게 내주지 않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트렌드라이트에서 필자의 글 더 만나보기

💡
더 많은 콘텐츠의 전문은 비욘드엑스가 운영하는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채널 '커넥터스' 유료 구독 신청을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더 깊이 있는 내용이 필요하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
티메프가 만들던 ‘조’ 단위 거래액은 어디로 갔을까
※ 이 콘텐츠는 커넥터스와 ‘트렌드라이트’의 제휴를 바탕으로 제작됐습니다. 1. 지난 7월, 티몬과 위메프(이하 ‘티메프’)에서 대규모 판매자 대금 미정산 문제가 발생하며 촉발된 ‘티메프 사태’가 벌어진 지 어느덧 두 달이 넘었습니다. 2. 당시 연간 거래액이 조 단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