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쓱닷컴은 서울 서부권의 주간배송을 전면적으로 CJ대한통운에 맡기기로 결정했습니다. 포장 방식도 종이상자로 통일했고, 운영 체계도 기존 매장 중심에서 김포 센터로 중앙집중화했죠. 이처럼 배송 파트너, 포장 방식, 운영 구조까지 한꺼번에 바뀌면서, 예상치 못한 큰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배송을 담당하던 협력사 브이투브이가 도입한 자동 분류 기계에서 오류가 생기면서, 쓱닷컴의 배송망 전체가 무려 12일간 멈춰 섰습니다. 자동화를 통한 효율화가 오히려 모든 배송 흐름을 멈추게 만든 원인이 된 것입니다.
더 놀라운 건, 같은 브이투브이의 분류기를 쓰던 다른 업체들—한진택배와 롯데글로벌로지스—는 비교적 빠르게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입니다. 이들 기업은 대체 설비와 백업 수단을 이미 마련해 두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번 사태는 “누가 잘못했느냐”를 따지기보다는, ‘하나의 경로에만 의존하는 구조가 얼마나 위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남게 되었습니다. 물류는 평소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문제가 생기면 브랜드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됐습니다.
물류·공급망 전략 백브리핑
STREAMLINE: 쓱닷컴 배송 대란의 해부학 – 공급망 단일화가 불러온 완벽한 폭풍
(2025.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