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 달러 휴머노이드의 도래, 그리고 ‘지능을 가진 물류’로 옮겨가는 게임의 룰
인터뷰: LG CNS 손동신 스마트물류센터 로봇담당 위원

극한의 딜레마에 빠진 물류 산업

"니즈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지만 비용은 계속 줄여야 한다." LG CNS 손동신 스마트물류센터 로봇담당 위원이 현재 물류 산업의 현실을 한 마디로 압축한 표현이다. 이커머스 급성장과 새벽배송 일상화, 지속적인 인건비 상승이 만들어낸 삼중고는 물류 자동화를 선택이 아닌 생존 조건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기존 자동화 기술의 한계도 드러나고 있다. 손 위원은 "시간이 갈수록 성능이 떨어지고, 지속적인 유지보수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구축 측이나 운영 측에서 간과했다"고 지적했다. 화물 적치·보관·피킹·분류는 상당 부분 자동화됐지만, 하차·검수·상차 등 물리적 환경이 다양한 영역은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4세대 로봇의 등장: 브레인을 갖춘 휴머노이드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4세대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손 위원은 기존 AMR(자율주행 로봇)과 4세대 로봇의 핵심 차이를 "브레인을 가지고 있느냐"로 구분했다.

"4세대 로봇이 등장하면서 사람이 다니는 환경에서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시대가 되고 있다"는 것이 손 위원의 설명이다. 이는 물류뿐만 아니라 실제 공장 작업까지 자동화할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변화를 의미한다.

손 위원은 AI 기술의 진화를 △전통적 AI △생성형 AI △에이전트 AI △피지컬 AI 순으로 구분했다. 피지컬 AI는 "스스로 생각해서 알아서 일을 수행하는" 혁신적 기술로, 짧은 지시만으로도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필요한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