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버는 MFC'를 어떻게 만들었나...오더히어로의 식자재 유통과 도심형 물류 거점의 역설
🎯 이 글을 읽어야 하는 이유
적자만 난다는 MFC 모델, 중소기업이 흑자를 냈습니다.
퀵커머스의 공식이 통하지 않는 시장에서, 오더히어로는 ‘정시배송’과 ‘밀도 구조화’로 수익을 만들었습니다.
1️⃣ 무엇이 달라졌나?
퀵커머스 물류 거점의 상징인 MFC(Micro Fulfillment Center)는 대부분 고정비 과다, 주문 밀도 부족, 수익성 악화라는 인식이 지배적입니다.
하지만 B2B 식자재 유통 플랫폼 '오더히어로'는 이 상식을 정면으로 깼습니다.
2024년 매출 504억 원 (전년 대비 47% 성장)
전국 14개 도심형 물류 거점 운영
일부 거점은 BEP(손익분기점) 초과 달성
📌 편집자 관점
“오더히어로의 MFC는 사실상 ‘TC(Transfer Center)’에 가깝습니다. 핵심은 빠른 배송이 아니라 정시성과 밀도 확보. 기존 MFC와는 전략 설계 자체가 다릅니다.”
2️⃣ 현재 전략과 실행
오더히어로는 음식점에 식자재를 공급하는 B2B 플랫폼입니다. 고객은 여러 공급처의 식자재를 한 번에 주문하고, 오더히어로는 그 주문을 공급처에 전달해 당일 입고 – 새벽 분류 – 오전 정시배송까지 자체 운영합니다.
MFC는 ‘보관’이 아닌 ‘크로스도킹(Cross-docking)’ 용도
상품은 하루만 거치고 바로 출고됨
평균 객단가 100만 원 이상, 경로 최적화된 순회배송 구조
음식점 내부에 미리 지정된 적재 위치까지 전달 가능
📌 편집자 관점
“보관형이 아닌 흐름형 거점으로 운영함으로써 회전율과 밀도 중심의 효율을 모두 잡은 구조입니다.”
3️⃣ 전략 로드맵
오더히어로는 도심형 거점을 단순한 창고가 아닌, 물류 효율화의 도구로 설계했습니다.
전략 요소 | 실행 내용 |
---|---|
TC 구조화 | 전국 14개 도심형 분류 거점 운영 (직영 + 대리점) |
밀도 기반 설계 | 플랫폼 내 주문 밀도 구조화 → 경로 중심 순회배송 |
공급사 유치 | 물류비 절감 + 영업 대행 → 입점 동기 유발 |
정시성 확보 | 음식점 오픈 전 새벽 분류 – 오전 배송 완료 |
📌 편집자 관점
“중소 식자재 유통사들의 영업조직 공백과 물류 부담을 해결해주는 구조. 단순한 배송대행이 아닌 ‘영업/물류 통합 솔루션’입니다.”
4️⃣ 시장에 미치는 변화
오더히어로의 성공은 ‘퀵커머스 = MFC = 대기업 구조’라는 기존 공식을 무너뜨렸습니다.
고객은 일반 소비자가 아닌 음식점 (B2B 구조)
빠름보다 ‘정확함’(정시성)을 우선
반복 구매 기반 수요로 예측 가능성 확보
플랫폼이 수요 흐름을 직접 컨트롤
📌 편집자 관점
“B2B 특화 물류모델에서 MFC는 오히려 ‘과잉 인프라’가 아니라 ‘적정 해법’이 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사례입니다.”
5️⃣ 경쟁사 비교
기업 | 고객 대상 | 배송 방식 | 거점 형태 | 수익화 상태 |
---|---|---|---|---|
B마트 | B2C | 즉시배송 | 재고형 MFC | EBITDA 흑자 |
컬리 | B2C | 새벽배송 | 전용 센터 기반 | 일부 흑자 전환 |
이마트 | B2C | 점포기반 배송 | 점포형 물류화 | 과거 실패 경험 |
오더히어로 | B2B(음식점) | 정시배송 | TC 기반 분류 거점 | BEP 초과 |
📌 편집자 관점
“퀵커머스형 MFC는 트래픽 중심 구조, 오더히어로는 수요 구조화 중심. 근본적 설계 철학이 다릅니다.”
6️⃣ 시장의 시그널과 앞으로의 변수
정기 수요 + 밀집 권역: 예측 가능한 반복 수요 구조
공급사 이탈 방지 요인: 물류비 절감 + 마케팅 대행 효과
객단가가 높은 구조: 단가 100만 원 이상 → 배송 효율↑
대리점 운영과 수요 통제 분리: 현장 운영은 분산, 수요는 중앙 집중화
📌 편집자 관점
“MFC의 지속가능성은 ‘수요 구조’가 결정합니다. 단건 수요보다 반복 수요에서 진짜 경쟁력이 나옵니다.”
7️⃣ 핵심 인사이트 요약
오더히어로는 MFC가 아니라 TC를 만들었습니다.
보관 중심이 아닌 분류 중심, 빠름보다 정시성, 소비자보다 음식점.
중소 유통사도 수익형 도심 거점을 만들 수 있다는 하이퍼로컬 SCM 전략의 증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