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 이용 기한
- 3일 (오늘 구매시 2024.09.24까지 이용가능)
물류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송상화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수, songsh@inu.ac.kr
KAIST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IBM 비즈니스컨설팅서비스를 거쳐 인천대학교에서 SCM과 물류, 유통, 디지털 혁신 분야 교육 및 연구에 힘쓰고 있다. 현재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원장, 교육부 4단계 BK21 사업 교육연구팀장, 네이버 쇼핑 자문교수, KOTRA 디지털혁신위원을 맡고 있다.
물류 산업은 재고를 통해 수요와 공급 간 불균형을 일정 부분 완화할 수 있는 제조 산업과 달리 수요와 공급의 동기화가 어려운 대표적 산업이다. 화물 운송, 이커머스 풀필먼트, 포워딩 서비스 등 물류 서비스들은 사전에 충분한 물류 인프라를 확보한 후 고객 수요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고객 수요에 대한 예측이 정확하지 않다면 화물운송 차량을 급하게 배차하거나 파트타임 인력, 컨테이너 선복 등을 비싼 가격에 추가로 확보해야 할 수 있다.
반면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물류 인프라를 대규모로 확보하면 수요 감소에 따라 해당 물류 인프라를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따라서, 물류 산업은 차별화 및 전문화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함께 고객 수요에 적절한 수준으로 물류 인프라를 미리 확보하여 자산 운영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역량이 핵심 경쟁력이 된다.
경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물류 서비스 수요 변동성 역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재고가 다단계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있던 전통적 공급망과 달리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제조 및 유통 기업들이 최종 소비자에게 상품을 직접 공급하기 시작하면서 수요 변동을 다단계 네트워크가 흡수하기 어려워졌다.
온라인으로 상품을 최종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게 되면서 소량 다빈도 판매가 일반화되기 시작하였으며, 프로모션 등 마케팅 활동은 주문량을 수십에서 수백배 이상 변화시키게 되었다. 수요의 급격한 변동은 물류에도 악영향을 미쳐 화물 운송 트럭, 풀필먼트 센터, 컨테이너 선복 등 물류 인프라를 사전에 확보하는데 있어 적정 수준을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더욱이 서비스 품질 경쟁으로 인하여 주문 납기가 짧아짐에 따라 수요 변동 시 물류 인프라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한 시간에도 제약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재고가 미리 확보되어 있다 하더라도 물류 서비스를 위한 트럭이나 풀필먼트 센터에 여유가 없다면 대응이 어려울 뿐 아니라 긴급히 추가 자원을 확보하려 해도 짧아진 주문 납기로 대응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새벽 배송, 당일 배송, 1시간 내 배송과 같이 신속한 배송을 보장하는 물류 서비스의 경우 수요 변동으로 인한 수요-공급 불균형으로 서비스 품질이 저하될 때 고객 불만으로 연결되어 기업 경쟁
력에 큰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물류 서비스의 특성상 수요와 공급의 동기화에 어려움이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문 변동성 증가 및 서비스 리드타임 감소는 물류 기업의 서비스 경쟁력 확보에 큰 문제로 작용한다. 수요의 변동이 커질수록 자체 물류 투자를 최소화하고 외부 자원에 의존하는 유연한 물류 인프라 운영 전략을 도입하지만, 다양한 기업과의 협력 과정에서 관리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일관된 서비스 제공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
또한, 서비스 제공 기업을 찾는 과정에서도 해당 기업의 서비스 제공 역량을 파악하기 힘들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기업 리스트 확보도 어렵다. 복잡하고 다단계로 구성된 물류 산업에서 수요에 맞춰 적합한 서비스 제공 기업을 확보하고 적절한 수준의 서비스 공급 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어려워짐에 따라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디지털 전환을 통해 수요 및 공급 프로세스에서의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물류 수요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물류 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다.
또한, 화주 기업으로서도 다양한 물류 기업들을 손쉽게 파악하고, 디지털 시스템에 기반하여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물류 기업은 디지털 전환을 통해 자체 물류 투자와 함께 다양한 기업의 물류 인프라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서비스를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고, 화주 기업으로서는 적절한 물류 기업을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비용 절감 및 서비스 품질 제고가 가능하다. 본 원고에서는 화주 기업이 물류 기업과 아웃소싱 관계를 형성하는 물류 서비스 거래 측면에서 물류 산업 내 디지털 전환의 현 수준을분석하고, 수요 예측에서 서비스 제공까지 향후 디지털 물류 서비스의 변화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략)
※ 내용이 더 궁금하시면 구매를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