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는 물류시장을 어떻게 재편할까

‘첨단물류과’라고 들어보셨나요?

우리나라 물류정책을 담당하는 국토교통부에는 교통물류실 산하 물류정책관이 있고 그 아래로 물류정책과, 물류산업과, 첨단물류과, 생활물류정책팀으로 총 3과 1팀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물류정책과, 물류산업과, 물류시설정보과 총 3과가 있었는데요.

시대 변화에 따라 물류담당부서에도 변화가 있었나 봅니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서비스 증가와 이커머스 물류 시장의 성장이 가져온 결과이겠죠. 과거 수출입 중심의 중후장대한 산업물류에서, 소비자들의 일상생활에 밀접한 택배 등 생활물류 서비스 영역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한몫 거들었을 겁니다.

온라인 거래 활성화는 새벽배송 등 빠른배송 서비스 수요를 증가시켰는데요. 이로 인한 관련 배달업 종사자의 증가, 각종 사고, 고용 및 노동 환경 등 사회적 문제도 늘어났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관련 생태계의 성장을 지원할 관련법 제정과 시행에 이르렀는데요. 이게 바로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입니다. 국토부의 생활물류정책팀이 신설된 배경입니다.

지난 20일 국토부는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 방안’이란 보도자료를 냈는데요. 요지는 AI 물류 인프라, 로봇과 드론 배송 등 신기술 적용과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규제를 개선하겠다는 것입니다. 이 안을 만들고 지원할 부서는 국토부 첨단물류과로, 이전의 물류시설정보과가 이름을 바꾼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발표로 로봇과 드론, AI·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이 스마트시티와 연계된 도심물류 체계 변화와 차세대 물류 시장 재편에 꽤나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쿠팡이나 네이버처럼 이커머스 성장에 따른 물류 활성화에 이어 현대자동차나 카카오, 두산, 한화, SK, KT와 같은 모빌리티 진출 기업들이 물류시장에 어떤 활력을 불어넣을지도 궁금합니다.

그래서 이게 왜 중요할까요?

로봇배송 26년 상용화, 시장재편 도화선 될까?

정부의 물류 혁신 방안은 물류 산업 발전이란 기대감으로 이어집니다. 법적 규제들이 재검토되고 실증이 이루어지면 차세대 물류 시장재편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우선 어떤 것들이 우선적으로 바뀌는지 3대 추진 전략을 알아볼까요.

❶ 차세대 물류 서비스 조기 구현
 (1) 로봇 배송(‘26 년)‧ 드론 배송(‘27 년) 조기 상용화 : 민‧관 협의체 구성‧운영, 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추진(’23~)
 (2) AI 기반 전국 당일배송 체계 구축 : 도심 내 MFC 허용(’23)
 (3) 차세대 물류 기술 구현 : 자율주행 화물차, 지하물류 배송 체계, 콜드체인 모니터링 시스템 등 구현(~’27)

❷ 세계 최고 수준의 물류 네트워크 구축
 (1) 도심 물류 인프라 구축 : 도시첨단물류단지 조성 추진
 (2) 글로벌 물류기지 조성 : GB 규제 완화 등 제도적 기반 조성
 (3) 물류정보 통합 플랫폼 구축 : 물류정보 통합 관리 및 민간 개방


❸ 첨단 기술 기반 물류 안전망 구축
 (1) ICT 기반 화물차 모니터링 강화 : 화물차 실시간 관제 구축(’27)
 (2) 물류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 ‘교통안전관리구역’ 지정 추진

출처: 국토교통부 첨단물류과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방안」

모빌리티, 물류시장 진출 방향성 점칠듯

가장 눈여겨 볼 대목은 로봇 배송의 조기 상용화와 물류정보 통합 플랫폼 구축을 통해 민간에 물류 데이터를 공개한다는 것입니다.

예컨대 현행법상 자율주행로봇의 경우 ‘자동차’로 분류돼 인도, 횡단보도의 통행이 불가능했죠. 하지만 이번 발표로 규제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또 정부가 민간에 물류 데이터를 공유하면 쿠팡이나 네이버처럼 도착예정, 도착보장 서비스 같은 개선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수집한 데이터를 통한 예측으로 배송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테니까요.

로봇과 드론, 지하물류에 필요한 새로운 운송수단 사용과 자율주행 등 EV화물차 상용화에 필요한 법적 규제도 손을 봅니다. 자율주행 배달 로봇은 도로교통법, 생활물류법, 개인정보보호법 등 다양한 규제에 막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로봇은 카메라를 통해 전방을 인식하는데, 개인정보보호법상 이 과정에서 보행자의 사전 동의 없는 촬영이 금지됐기 때문이죠.

이 때문에 이번 발표안이 해외의 규제 개선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에 어떤 사업이 가능해질지에 대해서도 향후 모빌리티 시장의 물류 진출 방향성이 점쳐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도심 내 MFC 허용, 로봇과 드론 허브 만들어지나

이번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 방안에는 도심 내 주문배송시설(MFC, Micro Fulfillment Center)의 입지를 허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는데요. 잘 아시다시피 MFC는 주문 수요를 예측, 재고 관리를 통해 주문 즉시 물품 배송이 가능한 거점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와 SK주유소(SK에너지)가 검토 중인 MFC에는 로봇과 드론 배송이 운영되는 일종의 로봇 허브가 빠르게 들어설 수도 있어 보입니다. 이런 첨단 운송수단과 AI 기술은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시장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첫 번째 인공지능 기술로 인한 수요 예측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이나 시간대의 수요를 파악해 배송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30분~1시간 사이에 전국 배송도 가능할 거란 예측이 나올 수 있죠.

두 번째 개인화 배송이 가능해집니다. 고객의 선호도나 구매 이력 등을 분석해 배송 시간이나 장소를 맞춤화할 수 있습니다. AI·빅데이터의 고도화는 소비자의 온오프라인 구매와 배송의 최적화란 기대로 모입니다.

세 번째 자율 주행 기술의 상용화는 택배나 배달 기사들이 선호하지 않는 지역의 배송이나 인력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네 번째 로봇과 드론은 내연기관 택배차량이나 퀵서비스에 사용되는 오토바이 통행을 줄여 대기 오염과 교통 체증 문제를 완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물론 이러한 변화들은 긍정적인 요소들과 함께 도시와 지역의 각종 규제와 기술적 한계, 인력 문제 등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기도 합니다.

SK에너지와 네이버는 ‘도심물류 서비스 공동개발 및 미래 테크 협력을 위한 사업협약’을 지난해 12월 22일 체결했다.

첨단 물류기술의 필요성 확인, 실효성과 안정성은?

로봇, 드론 등 첨단 운송수단의 도입 필요성에 대해 정부가 손을 들어준 모습입니다. 그러나 실효성과 안정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많고, 사회적 합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로봇과 드론을 이용한 배송은 일반 택배가 선호하지 않는 즉시 배송과 단거리 배송, 산간과 도서 등 오지 배송에 적합해 보입니다. 배송 시간과 단가도 이전보다 줄일 수 있고요. 그러나 도시나 지역에 따라 로봇과 드론 사용의 효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배송 거리, 배송 환경, 로봇이나 드론의 성능 등 셈법이 복잡한데요. 가장 큰 걸림돌은 규제입니다.

미국은 2016년부터 실외 자율주행로봇 운영을 위한 PDD(Personal Delivery Device)법을 시행 중입니다. 이후 펜실베이니아, 콜로라도, 워싱턴 등 30개 가까운 자치주에서 배송용 자율주행 로봇을 운영 중입니다. 이에 우리나라 국토부도 무인 배송 법제화와 안전기준 마련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민관 협의체를 운영합니다. 또 현재 33개의 드론 특별 자유화 구역 역시 빠르게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첨단 운송수단 도입과 이에 대한 안전 관리도 강화합니다. 가장 먼저 2027년까지 화물차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통해 속도, 운행 거리 등을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화물차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로봇, 드론 배송에 대한 안전 관리 대책은 마련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라스트마일 딜리버리는 최종 보관지에서 소비자까지의 물류를 책임지는, 소비자와 직접 만나는 물류 과정을 말합니다. 그래서 관련 서비스와 시장은 소비자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기에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기 마련입니다.

로봇과 드론, AI·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이 스마트시티와 연계된 도심물류 체계 변화와 차세대 물류 시장 재편이란 관심 속에서 정부의 차세대 물류 정책에 대한 기대와 감시가 동시에 필요한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