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콘텐츠는 커넥터스와 ‘트렌드라이트’의 제휴를 바탕으로 제작됐습니다.

1. 유튜브가 전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쇼핑 전용 스토어’를 출시하였습니다. 이커머스 솔루션 기업 카페24와 협력한 결과인데요. 과거 유튜브는 카페24로 구축한 자사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유튜브 콘텐츠 및 라이브를 통해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연동했다면요. 이제 자체 운영하는 스토어가 없는 크리에이터도 유튜브 안에 스토어를 개설하여 상품을 팔 수 있게 됐습니다.

유튜브는 커머스 플랫폼이 될 수 있을까?
CHAPTER 1 몸집 불리는 유튜브 쇼핑 유튜브가 본격적으로 쇼핑에 뛰어들어 몸집을 불리고 있습니다. 잘 아시겠지만 유튜브는 영상 플랫폼입니다. 그런데 왜 쇼핑 부문에 투자하는 것일까요? 당연히 사람이 모이면 광고와 물건 판매가 따라오는 것이지만요. 유튜브의 경우 이

2. 사용자 관점에서도 변화는 있는데요. 사용자는 유튜브로 영상 감상을 하는 동시에 상품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요. 마음에 든다면 추가적인 외부 스토어 가입 절차 없이 곧바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작아 보이지만 그 영향은 큰 만큼 유통업계 전체가 유튜브의 행보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3. 사실 유튜브는 최근 커머스 영역 확장에 꽤나 관심이 많아 보입니다. 전용 스토어 출시 직전에는 쿠팡과 손잡고 쇼핑 제휴 프로그램을 선보이기도 했는데요. 이는 자격 요건을 충족한 크리에이터라면 쿠팡의 상품을 자신의 콘텐츠에 태그하여 소개하고, 전환되면 수수료를 받는 방식입니다.

4. 이는 쿠팡이 기존 운영하던 쿠팡 파트너스 프로그램의 영상 버전 정도에 불과하지만요. 향후 파트너사가 더욱 늘어난다면 이 또한 전체 유통 시장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상당할 거라고 예상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5. 유튜브 입장에서도 현재처럼 중개 수수료를 받지 않더라도 광고 사업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이니, 앞으로도 계속 적극적으로 커머스 강화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6. 물론 유튜브가 단기간 내 유의미한 수준의 이커머스 사업자로 올라서는 건 결코 쉽지 않을 겁니다. 유튜브는 이미 2022년 라이브 방송을 활용하여 11번가 등과 협업을 진행하긴 하였으나, 그 효과가 그리 크지 않았고요. 쿠팡이 가진 압도적인 배송 경험이라던가, 알리나 테무의 성장을 이끈 초저가 상품 등 차별화된 경쟁 역량 또한 부재하기 때문입니다.

유튜브가 네이버의 ‘검색’, ‘쇼핑’, ‘콘텐츠’를 흔든다고?

7. 그러나 최소한 네이버는 이러한 유튜브의 부상에 큰 위협을 느낄 수 있습니다. 유튜브의 강점이 네이버 비즈니스의 근간을 뒤흔들 수 있기 때문인데요. 어쩌면 야금야금 검색 점유율을 잠식하고 있는 본체 구글보다 오히려 유튜브가 네이버에겐 더 까다로운 상대일지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