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경기도 고양시 외곽의 한 물류창고 건물 4층.
이곳은 최근 26만 건에 달하는 입양기록물이 모일 새로운 보관 장소로 주목받고 았습니다.
식자재를 저장하는 콜드체인 냉동창고지만, 지금은 냉기를 멈추고 누군가의 뿌리와 정체성을 담는 임시 보존소로 바뀌었습니다.
그런데 이곳을 둘러싸고 적지 않은 논란이 일었습니다.
“왜 하필 냉동창고인가?”
“장애인과 해외입양인들은 어떻게 접근하라는 것이냐?”
“정부는 영구기록관 예산도 없이 너무 서둘러 이관부터 시작한 것 아닌가?”
그렇다면, 이 상황을 단순한 감정적 논쟁으로 끝낼 수 있을까요?
우리는 더 본질적인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기록은 어떻게 통합적으로 관리돼야 할까?”
그리고 “이관부터 보존, 열람까지의 모든 흐름을 어떤 전략과 시스템으로 설계해야 할까?”
물류·공급망 전략 백브리핑
STREAMLINE: 입양기록물, 왜 냉동창고에 보관됐나 – 국가 기록물 관리 시스템의 허점과 대안
(2025.07.27)
❶ Point of View | 냉동창고는 단순한 장소가 아니었다
입양기록물은 누군가의 과거이자 정체성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국가가 보호하고 관리해야 할 소중한 공공 기록입니다.
그렇다면 왜 ‘냉동창고’였을까요?
그 답은 현실적인 조건에 있습니다.
2023년, 정부는 영구 입양기록관 건립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마쳤고, 340억 원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예산이 반영되지 않으면서 결국 기존 예산 23억 원으로 가장 현실적인 공간을 찾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결과가 바로 고양시의 냉동물류창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