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전략의 역사에서 혁신은 종종 주변부에서 시작된다. 디지털 전환이 그랬고, 지속가능경영이 그랬듯, 물류 자동화 역시 '비용 절감'이라는 후방 기능에서 시작되어 이제 '수익 창출'의 전략 자산으로 진화하고 있다.
프랑스의 로봇 공학 유니콘 엑소텍(Exotec)이 2022년 20억 달러 가치평가를 받으며 프랑스 최초의 산업 유니콘이 된 것은 단순한 기술적 성취가 아니다. 이는 물류가 더 이상 운영의 문제가 아니라 전략의 문제임을 시장이 인정한 신호다.
한국 진출의 전략적 의미
2025년 6월, 엑소텍이 서울 인근에 아시아 두 번째 데모센터를 개소한 것은 흥미로운 관찰점을 제공한다. 왜 한국인가? 한국 시장은 높은 자동화 수요와 함께 까다로운 규제, 고비용 구조로 악명 높다. 대부분의 글로벌 기업들이 회피하거나 신중하게 접근하는 시장이다.
하지만 복잡성은 진정한 혁신가에게는 기회다. 엑소텍 아시아·태평양 대표 류 타테와키는 한국의 물류 제약들을 "혁신을 촉진하는 동력"으로 본다며 "도심 밀집 환경과 한정된 창고 공간은 오히려 엑소텍의 차세대 스카이팟 시스템이 가장 잘 발휘되는 조건"이라고 설명한다. 이는 단순한 낙관론이 아니라, 제약을 기회로 전환하는 전략적 사고의 구현이다.
피터드러커의 말처럼 ”혁신의 기회는 예상치 못한 곳에서 올지 모른다”. 엑소텍은 한국이라는 '예상치 못한 복잡성'에서 자신들의 차별적 역량을 증명하려 한다.

기술과 파트너십의 새로운 정의
엑소텍의 차세대 스카이팟 시스템은 14미터까지 랙을 수직으로 이동하며, 피킹, 버퍼링, 패킹을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한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들이 제시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진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