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물류·공간·일상의 재편을 말하다 (제2화)
■ 기술과 공간의 충돌
2024년 현대건설이 경기도 고양시 힐스테이트 라피아노 삼송에서 선보인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는 건설업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건설사 최초로 도로부터 공동출입문, 엘리베이터, 각 세대 현관까지 전 구간 이동이 가능한 실내외 통합 로봇 배송 서비스를 구현한 것이다.
하지만 이런 혁신적 서비스 이면에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다. 로봇이 자유롭게 이동하려면 평지 설계, 단차 제거, 통신 인프라, 엘리베이터 연동 시스템 등 수많은 조건이 맞아떨어져야 한다. 현실적으로는 아직 완전한 통합 서비스보다는 단계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니다. 도시를 설계하는 주체와 도시를 실제로 움직이는 주체가 달라지고 있다는 더 본질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과연 미래 도시의 진짜 설계자는 누구일까?
■ 데이터가 만드는 새로운 공간 질서
플랫폼 기업들이 도시 공간을 바라보는 방식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들은 '거점-데이터-동선'이라는 새로운 언어로 도시를 재구성하고 있다.
배달의민족 B마트의 경우, 2018년 초기 수작업 방식에서 벗어나 IT기술과 물류 인프라를 접목한 결과 2023년 상품매출이 6880억원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이는 단순한 매출 증가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소비자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물류 거점을 배치하고, 기존 상권 개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공간 배치를 만들어낸 것이다.
쿠팡 역시 외곽 대규모 물류센터와 도심 마이크로허브를 연결하는 계층적 배송망을 구축했다. 강남역 지하상가의 픽업 라커부터 아파트 단지의 새벽배송 거점까지, 도시의 모든 틈새 공간이 물류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