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 분석
  • 지식
  • 연결
  • Global
  • what's X
  • 로그인

당근은 ‘광고’로 어디까지 벌 수 있을까

김철민
김철민
- 8분 걸림

🥕 이 글을 읽으면 알 수 있어요!

1. 당근이 창사 8년 만에 첫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는 소식은 이미 전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당근의 흑자 전환에 기여한 것은 2배 이상의 매출 성장을 만들어낸 ‘광고’ 사업의 성공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당근은 어떻게 트래픽이 역성장하는 와중에, 광고 사업을 키울 수 있었을까요? 그리고 당근의 광고 사업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수 있을까요?

2. 당근의 광고 사업이 가지는 잠재력을 측정하기 앞서 ‘디지털 광고’ 사업의 기본 구조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디지털 광고의 성과 측정 방법은 그때그때 다를 수 있지만요. 성과를 만드는 근원을 파고 들자면 OOO이라는 하나의 결론에 도달합니다. 바로 여기서 당근이 트래픽 역성장에 불구하고, 광고 사업 매출을 끌어올릴 수 있었던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3. 당근이 분명히 선방한 것은 맞지만, 앞으로도 당근의 광고 사업이 계속 성장할 수 있느냐를 묻는다면 의구심이 따라오는 것도 맞습니다. 서비스와 인구 구조의 한계상 앱 서비스의 사용자는 무한대로 늘어날 수 없고요. 앱 사용자당 체류시간을 늘리는 데도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여 결국 당근 역시 앱 사용자의 체류시간당 ‘매출’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는데요. 여기 따라오는 반대급부가 또 없지 않습니다. 당근 광고 사업의 미래를 종합적으로 전망해봅니다.

4. 당근에겐 이미 달성한 흑자 전환과 앞으로의 광고 매출 성장과는 별개로 또 하나의 숙제가 있습니다. 2021년 투자 당시 인정받았던 약 3조원에 달하는 몸값을 증명하는 것인데요. 이를 위해서 당근이 참고할 수 있는 선례가 있으니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메타’입니다. 그리고 당근 역시 메타의 성공 방정식 두 가지를 따라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트렌드라이트 무료로 구독 하기

CHAPTER 1

흑자 전환의 1등 공신 ‘광고’

당근이 창사 8년 만에 첫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는 소식은 지난번 콘텐츠를 통해 전달 드렸습니다. 이번에 당근의 실적이 극적으로 개선될 수 있었던 건 매출은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린 동시에, 비용은 전년도 수준과 비슷하게 유지했기 때문인데요. 그 중에서도 매출 성장에 기여한 것은 당근 전체 매출의 99%를 차지하고 있는 ‘광고’ 사업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숫자로 보는 8년 만에 당근이 흑자를 만들 수 있었던 이유
※ 이 콘텐츠는 커넥터스와 ‘트렌드라이트’의 제휴를 바탕으로 제작됐습니다. 1. 국내 대표 지역생활 커뮤니티 당근이 창사 8년 만에 첫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불과 재작년까지만 해도, 매년 적자 규모를 키워왔던 당근이었던 터라 놀라우면서도 반가운

당근 이전 많은 플랫폼 기업들은 실적 개선에 앞서 무언가 ‘분기점’을 만들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쿠팡은 처음부터 직매입 기반으로 실질적인 매출을 만들어 냈기에 비용 효율화로 흑자 전환의 토대를 쌓을 수 있었고요. 무료 수수료 정책을 폐기한 크림과 에이블리는 적자를 크게 줄였고, 더 나아가 손익분기점(BEP) 달성에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아니면 카카오톡의 비즈보드처럼 아예 새로운 광고 상품을 대대적으로 성공시켜 수익을 크게 늘린 사례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번 당근 실적의 퀀텀점프는 그 어떤 전조도 없었다는 점에서 독특했습니다. 당근의 작년을 되돌아보면 특별하게 새로운 수익모델을 만들어 냈다고 보긴 어렵고요. 광고 상품 역시 늘 하던 지역 광고를 그저 부스팅했을 뿐인데요. 그럼에도 당근은 광고 수익만으로 상징적 의미가 큰 연 매출 1000억원의 벽을 넘었고요. 그간 있었던 ‘중고거래 수수료도 없이, 지역 광고만으로 수익화가 가능하겠냐’는 업계의 우려들을 불식시키는 데 성공합니다.

흑자 전환한 당근의 비결 ‘광고’와 동네 사장님들이 꼽은 의외의 활용처
CHAPTER 1 당근 첫 흑자 달성의 이유 국내 대표 중고거래 앱에서 지역생활 커뮤니티로 변신한 ‘당근’이 연간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당근 측은 지난해 173억원(별도 기준)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2015년 창사 이후 8년 만에 처음으로 연간 흑자를 냈다는 소식을 전

그렇다면 여기서 자연히 따라올 의문점이 있습니다. 당근의 2023년 MAU(Monthly Active Users)가 2022년 대비 역성장을 보이는 등 악재가 있었던 것은 사실인데요. 과연 당근의 광고 사업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수 있을까요? 더 나아가 당근은 현재의 지역 광고 모델만으로, 2021년 투자 당시 인정받았던 약 3조원의 몸값을 증명할 수 있을까요?

CHAPTER 2

무엇이 광고의 성과를 만드는가

당근의 광고 사업이 가지는 잠재력을 측정하기 앞서, 디지털 광고 시장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TV, 신문, 잡지 등 전통 매체와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광고 상품 사이의 가장 큰 차이는 ‘성과 기반’으로 과금이 된다는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

(중략)

💡
동 콘텐츠의 전문은 비욘드엑스가 운영하는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채널 '커넥터스' 유료 구독 신청을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더 깊이 있는 내용이 필요하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
당근은 ‘광고’로 어디까지 벌 수 있을까
#트렌드라이트 무료로 구독 하기 CHAPTER 1 흑자 전환의 1등 공신 ‘광고’ 당근이 창사 8년 만에 첫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는 소식은 지난번 콘텐츠를 통해 전달 드렸습니다. 이번에 당근의 실적이 극적으로 개선될 수 있었던 건 매출은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린 동시
당근디지털 광고로컬 커머스쿠팡분석룸

김철민

「네카쿠배경제학」저자. 비욘드엑스와 네이버 프리미엄 유통물류 콘텐츠 채널 커넥터스 대표이자 창업자입니다. 인류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물류 생태계를 관찰하고, 시대마다 공급망 역할을 분석하는 일을 좋아합니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했으며, 현재 한국로지스틱스학회 부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