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이 월마트에게 배운 '초저가의 기술'... 쿠팡, 이마트 등 한국 유통에 던지는 질문
월마트의 초저가 전략을 따라하기 시작한 아마존, 이 흐름은 단순한 '할인 경쟁'이 아닙니다.
아마존은 오프라인 유통을 재설계하는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초저가'를 실험 중이고,
이는 쿠팡·이마트·네이버·컬리 등 국내 유통 플레이어에게도 구조적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한국 유통시장에 필요한 건 더 많은 할인일까요, 아니면 더 나은 시스템일까요?
이 글은 EDLP(Everyday Low Price)를 가능케 하는 공급망 전략의 진화를 짚고,
한국 기업들이 지금 무엇을 바꿔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물류·공급망 전략 백브리핑
STREAMLINE: 아마존이 월마트에게 배운 '초저가의 기술' – 한국 유통에 던지는 질문
(2025.07.01)
❶ Point of View | 무엇이 달라졌나?
아마존이 'EDLP(Everyday Low Price)' 전략을 오프라인까지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됩니다. 프레시 매장에서 월마트식 초저가 전략을 본격 도입하며, 과거 '기술 중심 슈퍼'에서 '가격 중심 슈퍼'로 완전한 전환을 시도하는 모습입니다.
이 변화는 단순한 가격 인하가 아니라 공급망 재구성, PB 전략, 풀필먼트 통합까지 연결된 본격적인 '구조 전략'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❷ Inside the Move | 아마존은 어떻게 실행하고 있나?
아마존의 전략 응용 방식은 다음과 같이 파악됩니다:
■ PB 브랜드 '아마존 세이버(Amazon Saver)' 출시→ 노프릴 제품을 통한 마진 확보와 가격경쟁력 확보 전략으로 보임
■ 아마존닷컴 + 홀푸드 + 아마존프레시 통합 조달 시스템 구축→ 공급가 절감을 위한 시너지 창출이 목적으로 추정됨
■ 풀필먼트 네트워크 통합 운영→ 창고, 차량, 드라이버 통합으로 배송비 절감 효과를 노리는 것으로 분석됨
이 전략은 단순한 '저가'가 아닌, '지속가능한 저가'를 위한 운영 시스템 재설계로 평가됩니다.
❸ Business Playbook | 전략 로드맵 분석
전략 요소 | 월마트 | 아마존 | 한국 시장 적용 전망 |
---|---|---|---|
초저가 상품 | Great Value 등 PB | Amazon Saver (노프릴) | 노브랜드(이마트), 홈플(쿠팡) 확대 예상 |
공급가 절감 | 대량 매입 | 채널 통합 후 매입량 확대 | 쿠팡: 직매입, 이마트: 그룹 조달 강화 필요 |
물류 최적화 | 매장 기반 미들마일 | FC+매장 물류망 통합 | 쿠팡 FC, 이마트 PP센터 등 고도화 과제 |
고객 락인 | 오프라인 중심 | 프라임 기반 락인 | 와우회원(쿠팡), SSG멤버십 역할 확대 예상 |
수익 보완 구조 | 오프라인 매출/임대수익 등 | AWS, 광고, 프라임 | 쿠팡 광고+로켓제휴, 컬리 LTV 모델 주목 |
❹ Market Impact | 한국 유통시장은 어떻게 반응하고 있나?
■ 쿠팡은 아마존 전략을 가장 유사하게 구현 중: PB 확대, 물류 내재화, 멤버십 락인 구조 가동 중으로 관찰됨
■ 이마트·롯데마트는 월마트와 유사한 기반을 가졌지만 시스템 전환은 더딤: 디지털 전환 속도가 과제로 보임
■ 네이버는 EDLP보다 다이내믹 가격 경쟁 플랫폼 역할: 직접 가격 결정보다는 중개 플랫폼에 집중
■ 컬리는 프리미엄 중심으로 EDLP와는 다른 경로로 차별화: 고객 단가 상승을 통한 수익성 추구
※ 편집자 의견: '가격'보다 '시스템'이 핵심 경쟁력이 되는 흐름에서, 한국 유통기업의 진화 속도가 갈림길에 서 있는 상황으로 판단됩니다.
❺ Competitor Matrix | 주요 유통 6사 비교 (EDLP 관점)
기업 | EDLP 전략 현황 | PB 현황 | 물류 구조 평가 | 고객 락인 수준 | 수익 보완 구조 |
---|---|---|---|---|---|
쿠팡 | 유사 EDLP 구조 구축 중 | 있음 (홈플) | FC+라스트마일 직접 운영 | 와우 멤버십 | 광고, 제휴, Fulfillment |
네이버 | 없음 (판매자 자율 정책) | 없음 | 물류 외주 및 연동 | 멤버십 확장 중 | 광고 중심 |
컬리 | 프리미엄 중심 차별화 | 있음 | MFC 기반 자체망 | 샛별배송 락인 | 고객 LTV 중심 구조 |
이마트 | 약화된 전통 EDLP | 있음 (노브랜드) | 점포+PP센터 | 신세계포인트 | 점포수익+투자 |
롯데마트 | 유사 전략 일부 도입 | 일부 존재 | 점포 중심+보완 중 | 엘포인트 | 복합 구조 |
홈플러스 | 행사 중심 전략 | 약함 | 점포 기반 | 약함 | 약함 |
❻ Beyond the Numbers | 앞으로의 변수는?
- EDLP를 실현할 만큼의 규모+효율을 확보한 유통망이 있는가?
- PB 상품의 마진 구조와 공급 유연성 확보 수준은 충분한가?
- AI 기반 동적 가격 시스템 도입이 EDLP와 충돌하지 않을까?
- 오프라인 기반 유통사가 디지털 통합 속도를 따라갈 수 있을까?
- 회원 락인 구조가 고객 LTV로 실제 전환될 수 있을까?
❼ Summary Insight | 핵심 인사이트 요약
초저가는 가격 전략이 아니라 '운영 시스템'으로 접근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월마트는 규모로, 아마존은 시스템 통합으로 이 전략을 실현 중입니다.
한국 유통기업에게 지금 필요한 건 '더 많은 할인'이 아니라 '더 나은 설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쿠팡은 이 구조를 내재화하고 있는 반면, 전통 유통사는 전환의 갈림길에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 한국 유통시장에서는 시스템 경쟁력을 갖춘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 간의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금 무료 회원 가입하고, 모든 전략 콘텐츠를 전문 열람해보세요. 후원 계좌: 하나은행 189-910044-05704 (예금주: 비욘드엑스)
© 2025 BEYONDX. All rights reserved. This is part of the STREAMLINE: Beyond Logistics Playbook by BEYONDX s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