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2Q 실적으로 본 이해진의 '생태계 경영'
네이버가 20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 2조 9,151억 원(+11.7% YoY), 영업이익 5,216억 원(+10.3%), 당기순이익 4,974억 원(+49.8%)이라는 수치 자체도 양호하지만, 진짜 주목할 부분은 따로 있다. 바로 커머스 부문이 +19.8%로 전체 성장을 견인했다는 점이다.
흥미로운 건 네이버가 아마존이나 쿠팡처럼 수조 원을 물류 인프라에 투자하지 않으면서도 이런 성과를 낸다는 것이다.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설계한 이 '생태계 경영' 모델을 해부해보면, 우리가 놓치고 있던 중요한 시사점들이 보인다.
■ 커머스가 성장 엔진이 된 이유
사업부문별 성장률을 살펴보면 커머스(+19.8%)가 압도적 1위다. 콘텐츠(+12.8%), 핀테크(+11.7%), 서치플랫폼(+5.9%), 엔터프라이즈(+5.8%)를 모두 앞선다. 더 중요한 건 내부 구조다. 커머스 광고 +19.8%, 중개 및 판매 +19.6%, 멤버십 +20.7%로 모든 하위 부문이 고르게 20% 가까이 성장했다.
이런 '고른 성장'은 보통 구조적 변화의 신호다. 특정 프로모션이나 마케팅 효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네이버는 무엇을 다르게 했을까?
핵심은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의 성공적 안착이다. 이 앱은 전체 페이지뷰와 거래액 성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스마트스토어 및 크림 거래액 성장에 힘입어 온플랫폼 거래액은 YoY 9.0% 증가했다.
여기서 이해진의 전략적 선택이 드러난다. 쿠팡이 수조 원을 들여 풀필먼트 센터를 짓고 로켓배송을 만든 것과 달리, 네이버는 물류 인프라 경쟁을 아예 피했다. 대신 '앱 내 쇼핑 경험' 최적화에 모든 것을 걸었다.
■ 핀테크가 커머스의 비밀병기인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