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물류·공간·일상의 재편을 말하다 (제3화)

배달로봇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현관 앞까지 배송하는 동안, 오토바이 배달원은 지하 화물 승강기를 이용해야 하는 현실. 이는 단순한 기계와 인간의 우선순위 문제가 아니다. 기술이 도시 설계의 프레임을 바꾸고, 인간의 동선과 경험이 그에 맞춰 재조정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이다.

■ 도시 설계의 주도권 변화

지난 5년간 쿠팡, 배달의민족, 카카오택시가 우리 도시의 동선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새벽 3시에도 빛나는 쿠팡 물류센터, 골목골목 누비는 배달 오토바이, 언제 어디서든 잡히는 택시. 편리함 뒤에 숨은 질문이 있다. 이 흐름이 정말 인간 중심인가, 아니면 플랫폼 중심인가?

플랫폼 기업들은 '거점-데이터-동선'이라는 새로운 언어로 도시를 재구성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변화가 일방적이라는 점이다. 플랫폼은 자신들의 효율성을 위해 도시 공간을 재편하고, 시민들은 그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 건설사들마저 플랫폼의 요구에 맞춰 건물을 짓고 공간을 설계한다.

이런 종속적 관계가 지속된다면 도시는 사람이 아닌 알고리즘을 위한 공간이 될 위험이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플랫폼의 효율성을 인정하면서도 인간 중심의 도시 가치를 지켜나가는 '대안적 설계 언어'다. 그리고 이 언어를 만들어낼 수 있는 주체가 바로 건설사다.

■ 도시 운영체제의 설계자로 전환

건설사는 더 이상 '건물 짓는 회사'가 아니다. 플랫폼 시대에 건설사는 '도시 경험을 설계하는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 이는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도시 내 모든 활동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일이다.

배송, 쓰레기 처리, 이동, 주거, 상업 활동이 분리된 개별 영역이 아니라 하나의 연결된 시스템으로 작동하도록 만드는 것. 이것이 건설사의 새로운 역할이다. 플랫폼 기업들이 각자의 서비스 효율성만 추구한다면, 건설사는 물리적 설계자를 넘어 '도시 운영체제(Urban Operating System)'의 설계자로 전환해야 한다.